핵심요약
- 고객은 인사이트보다 문제 해결 경험과 실행력을 신뢰한다.
- 문제 제시는 신뢰 형성의 출발점일 뿐, 계약을 이끄는 핵심은 아니다.
- 단계적 제안 구조를 통해 고객 리스크를 줄이고 신뢰를 쌓아야 한다.
- 소규모 사전 계약, 실행 가능성 증명, 전체 프로젝트 제안 순으로 접근하라
- 문제 발견이 아닌, 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고객에게 다가서야 한다.
고객은 ‘문제’가 아닌 ‘해결’을 원한다
많은 전문가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있다. 고객이 인식하지 못한 문제를 짚어내는 것이 곧 계약으로 이어질 것이라 믿는 것이다. 이는 컨설턴트들이 흔히 빠지는 착각이다. ‘내가 이 문제를 처음 발견했으니, 내가 해결할 자격이 있다’고 여기지만, 고객은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고객은 감탄보다 신뢰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린다. ‘누가 먼저 문제를 말했는가’보다 ‘누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수주 실패 사례
남미의 한 대형 광산회사를 만난 글로벌 컨설팅사. 고객이 미처 인식하지 못한 운영 리스크를 짚어내며 회의실 분위기를 장악했다. 하지만 정작 프로젝트는 경쟁사에 넘어갔다. 이유는 간단했다. 문제를 제시한 그 회사는 이와 유사한 문제를 해결한 실적이 없었던 것이다. 인사이트는 충분했지만, 실행력을 증명하지 못했다. 고객은 감동했지만, 신뢰하지는 않았다.
고객의 선택 기준은 ‘이력’과 ‘실행 계획’
고객은 프로젝트 파트너를 선정할 때 다음 세 가지를 살펴본다. 첫째, 과거 유사한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는가. 둘째, 제시된 해결 방법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가. 셋째, 프로젝트가 단계별로 진행되어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인가. 이 세 가지가 충족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통찰도 실행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문제 제시자’에서 ‘신뢰 구축자’로의 전환
컨설턴트는 문제를 제시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고객이 안심하고 다음 단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신뢰를 쌓아야 한다.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제안을 3단계로 나누는 것이다. 1단계에서는 프리-프로젝트를 통해 문제를 함께 정의하고, 2단계에서는 해결 방식을 구조화하여 실행 가능성을 보여주며, 마지막 3단계에서 본격적인 전체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것이다.
단계별 실행 전략
첫 번째 단계는 ‘짧은 계약’을 통해 시작된다. 고객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1~2주짜리 사전 진단 프로젝트로, 문제의 윤곽을 함께 그려간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핵심 솔루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고객이 현실적인 대안을 보도록 만든다. 마지막으로, 앞선 성과를 기반으로 전체 프로젝트를 설계해 제안한다. 이렇게 접근하면 고객은 점진적으로 신뢰를 쌓게 되며, 리스크 없이 다음 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 목적 | 실행 방법 |
1단계 : 프리-프로젝트 제안 | 문제 정의를 고도화하고 신뢰 기반 형성 | 2주간의 짧은 계약으로 ‘문제 스케치’만 수행 |
2단계 : 솔루션 구조화 제시 | 실행 가능성 및 방향성 입증 | 핵심 프레임워크 및 접근법 요약 제시 |
3단계 : 정식 프로젝트 제안 | 고객 신뢰 확보 후 본 프로젝트 제안 | 앞선 단계 결과물을 토대로 전체 프로젝트 설계 |
페이싱 전략과 신뢰 설계
중요한 것은 ‘작게 시작하는’ 전략이다. 고객은 단번에 큰 계약을 결정하지 않는다. 대신 파일럿이나 프리-스코핑 제안은 부담을 줄이며 긍정적 인식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구조를 명확히 나누어, 각 단계마다 고객이 원하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이는 고객에게 ‘이 회사는 우리를 함정에 빠뜨리지 않는다’는 인상을 준다. 결국 신뢰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에서 생긴다.
- 작게 시작하라 : 고객이 쉽게 수락할 수 있는 짧은 파일럿이나 스코핑 프로젝트를 제안하라.
- 옵션처럼 제안하라 : 고객이 리스크 없이 다음 단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어라.
- 페이싱 전략 활용 : 프로젝트를 명확한 단계로 나눠 고객의 부담을 줄여라.
마무리
문제를 제시하는 것은 단지 시작일 뿐이다. 진짜 성과는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설득력 있게 보여주는 데서 나온다. 브랜드 파워가 약할수록, 고객이 직접 겪는 리스크를 덜어주는 전략이 필요하다. 고객은 탁월한 진단보다 안정적인 해결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컨설턴트는 ‘문제 발견자’가 아니라 ‘신뢰를 설계하는 해결자’가 되어야 한다.
- 제안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경험이 있는가?
- 고객이 쉽게 수락할 수 있는 소규모 프로젝트를 설계했는가?
- 문제 → 해결 전략 → 실행방안까지의 흐름을 설명했는가?
- 고객이 각 단계에서 "리스크 없이 탈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했는가?
- 신뢰 확보를 위한 사례 또는 증빙 자료를 제공했는가?
'마케팅 > 인적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B2B 세일즈 성공을 위한 7가지 전략 (0) | 2025.05.16 |
---|---|
고객의 구매 신호 인식 및 세일즈 최적화 전략 (2) | 2025.05.15 |
크로스셀링과 업셀링 전략 추진 4단계 (3) | 2024.12.21 |
두려움 없는 콜드콜! 성공적인 전화 영업을 위한 스크립트 가이드 (5) | 2024.12.20 |
고객 불만을 기회로! 불만 처리 전략 따라하기 (2)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