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요약
✔ 역할 부여: GPT를 마켓 리서처로 설정하여 전문성을 높인다.
✔ 조사 주제 명확화: 연도, 산업, 목표를 구체적으로 지정한다.
✔ 신뢰할 수 있는 소스 활용: Statista, McKinsey 등 공신력 있는 출처를 요청한다.
✔ 핵심 요약 방식 설정: 5가지 포인트, 표 정리, 사례 포함 등 가독성을 높인다.
✔ 번역 및 데이터 가공 요청: 해외 자료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필요한 형태로 가공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하는 것은 비즈니스 성공의 핵심이다. 하지만 방대한 정보를 직접 조사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신뢰할 만한 데이터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이럴 때 챗GPT를 마켓 리서치 도구로 활용하면,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분석하고 실무에 적용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단, 무작정 "마켓 트렌드 알려줘"라고 질문하면 너무 포괄적이거나 일반적인 답변이 나올 수 있다. 올바른 방법으로 질문하면 챗GPT는 훌륭한 리서치 도구가 될 수 있다.
오늘은 챗GPT를 활용해 시장 트렌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5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1. 챗GPT에게 역할을 부여하라
챗GPT가 제공하는 정보의 질은 얼마나 구체적으로 역할을 부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역할을 명확히 지정하면 답변의 전문성이 높아지고, 실무에 적용하기 쉬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역할을 부여할 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하면 된다.
"당신은 마켓 리서치 전문가입니다. 최신 산업 트렌드를 분석하는 전문가로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해 주세요."
이렇게 설정하면 챗GPT는 단순한 정보 나열이 아니라, 전문적인 분석과 데이터 기반의 설명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조사할 주제를 명확하게 지정하라
"마케팅 트렌드 알려줘"라고 하면 너무 광범위한 답변이 나오거나, 실무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정보가 나올 수 있다. 원하는 답변을 얻으려면 조사할 주제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2024년 SNS 마케팅 트렌드를 분석하고, 브랜드들이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3가지 이상 제시해 주세요."
이처럼 연도, 산업 분야, 분석 목표를 구체적으로 포함하면 보다 정확하고 실무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다.
3.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를 요청하라
챗GPT는 기본적으로 학습된 데이터와 일반적인 정보에 기반해 답변을 생성한다. 따라서 신뢰도 높은 정보를 얻으려면 공신력 있는 소스를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챗GPT에게 특정 보고서를 참고하도록 요청하면 답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Statista, Gartner, McKinsey의 리포트를 기반으로 2024년 디지털 광고 시장 전망을 분석해 주세요. 이 외의 출처는 사용하지 마세요."
이렇게 요청하면 GPT는 공신력 있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을 제공하려고 한다.
4. 핵심 요약 방식과 정리 방법을 지정하라
챗GPT의 답변이 너무 길거나 불필요한 내용이 많다면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반대로 너무 짧으면 실무에 적용하기 어렵다. 원하는 형태로 데이터를 정리해 달라고 요청하면 더욱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요청할 수 있다.
"2024년 SNS 마케팅 트렌드를 5가지 핵심 포인트로 요약하고, 각 트렌드에 대한 실제 기업 사례를 포함하여 설명해 주세요."
또한, 도표나 리스트 형식으로 정리해 달라고 요청하면 가독성이 높아진다.
"표로 정리해 주세요."
"각 트렌드별 장점과 단점을 비교 분석해 주세요."
이렇게 요청하면 챗GPT가 정보를 더욱 정리된 형태로 제공한다.
5. 번역 및 데이터 가공 기능을 활용하라
해외 리포트나 연구 자료를 참고해야 할 때, 챗GPT를 활용하면 빠르게 번역하고 필요한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Gartner의 2024년 디지털 마케팅 보고서를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고, 10줄 이내로 요약한 뒤 표로 정리해 주세요."
이렇게 요청하면 원문 번역뿐만 아니라 요약과 정리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해외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할 때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챗GPT를 단순한 정보 검색 도구가 아니라, 전문적인 마켓 리서치 도구로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면 훨씬 더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기업경영 > 전략기획, 사업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판단 기법(Key Judgement Technique, KJT) : 전문가 의견과 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최적의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 (1) | 2025.03.11 |
---|---|
실패하는 전략의 특징 4가지와 피하는 방법 (0) | 2025.03.11 |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차별성 확보 필승 전략 5가지 (0) | 2025.03.10 |
좋은 전략과 나쁜 전략을 구별하는 방법 (1) | 2025.03.09 |
의사결정 한 번 잘못하면 회사가 흔들린다! PINC 여과기 모형으로 안전하게 검토하는 법! (1)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