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께서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중요한 결정을 내리시지 않나요? 하지만 혹시 이 결정을 내릴 때, 무의식적으로 '긍정'과 '부정'이라는 단순한 틀에 갇혀 있지는 않으신가요?
오늘은 PINC 여과기 모형이라는 전략적 의사결정 도구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사업에서 마주하는 여러 선택지를 더 명확하고, 더 현실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PINC 여과기 모형이란?
PINC 여과기 모형(PINC Filter Model)은 기존의 ‘힘의 장 분석(Force Field Analysis)’을 확장한 기법입니다.
즉, 단순히 긍정과 부정만이 아니라 중립적인 요소까지 고려하는 의사결정 도구입니다.
PINC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 P (Positive, 긍정적인 요소): 이 선택이 비즈니스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 I (Intriguing, 호기심 유발 요소): 예상치 못한 기회나 신기술, 새로운 아이디어는 있는가?
- N (Negative, 부정적인 요소): 이 선택이 기업에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은?
- C (Concerning, 걱정이 되는 요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요소는?
이렇게 보면, 단순한 찬반 논리가 아닌 다차원적인 접근을 할 수 있다는 것이 PINC 모형의 핵심입니다.
📌 왜 PINC 여과기 모형이 중소기업에 중요한가?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한 번의 실수도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자금과 인력이 제한적인 환경에서는 한 번의 결정이 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죠.
👉 그런데, 여러분의 회사는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릴 때 충분한 검토를 하고 계신가요?
👉 혹시, "경쟁사도 다 하니까!" 같은 막연한 이유로 결정을 내리고 계신가요?
이제부터라도 PINC 여과기 모형을 활용하면, 더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예시: 산업단지 개발 프로젝트
PINC 여과기 모형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산업단지 개발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P (긍정적 요소) | 지역경쟁력 강화, 대기업 입주 확정, 정부 지원 |
I (호기심 유발 요소) | 경제자유지역 지정, 지역 대학 취업률 확대, 세계 경기 전망 |
N (부정적 요소) | 환경단체 반발, 지방재정 악화 우려, 주민 반발 |
C (걱정되는 요소) | 기업 유치 가능성, 인프라 확충 문제, 부동산 시장 변화 |
👉 기존 방식 vs. PINC 방식 비교
기존 방식:
✅ “대기업이 입주하면 경제가 살아난다!” (긍정적)
❌ “환경단체가 반발할 수도 있다…” (부정적)
➡ 찬반 논리로만 접근하여 세밀한 전략을 놓칠 가능성
PINC 방식:
✅ “대기업이 입주하고 정부 지원도 있다. (P)”
🔎 “경제자유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다? (I)”
❌ “환경 문제로 NGO의 반발이 예상된다. (N)”
⚠ “기업 유치 가능성이 불확실하다, 신중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C)”
➡ 다각도로 평가하여 보다 전략적인 의사결정 가능!
📌 PINC 여과기 모형, 이렇게 활용하세요!
그렇다면 실제로 이 방법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1️⃣ 문제 정의하기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나 고민을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예) "신규 사업 확장 vs. 기존 사업 강화,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2️⃣ 긍정적 요소(Positive) 분석
이 선택이 기업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정리하세요.
예) "신규 사업 확장 시, 시장 점유율 상승 기대"
3️⃣ 호기심 유발 요소(Intriguing) 분석
이 선택이 예상치 못한 기회나 흥미로운 요소를 포함하는지 확인하세요.
예) "정부에서 스타트업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음"
4️⃣ 부정적 요소(Negative) 분석
이 선택이 기업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보세요.
예) "초기 투자 비용이 높아 자금 조달 부담 증가"
5️⃣ 걱정되는 요소(Concerning) 분석
현재는 명확하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요소를 확인하세요.
예) "업계 트렌드 변화 속도가 빨라 리스크 증가 가능성"
📌 이제 여러분의 의사결정을 업그레이드하세요!
🔻기존 방식의 문제점
❌ "직감"에 의존하는 의사결정
❌ 단순한 "찬반" 논리로 선택하는 전략
❌ "경쟁사도 하니까" 식의 막연한 판단
✅ PINC 여과기 모형 적용 시
✅ 보다 논리적이고 다각적인 검토 가능
✅ 새로운 기회 요소(Intriguing)까지 고려한 전략 수립
✅ 장기적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판단 가능
📌 "여러분의 기업은 이제까지 얼마나 전략적으로 의사결정을 해왔나요?"
📌 "앞으로의 중요한 결정, 정말 제대로 준비되셨나요?"
앞으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PINC 여과기 모형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
더 강하고, 더 안전한 중소기업 경영을 위해 꼭 필요합니다. 🚀
'기업경영 > 전략기획, 사업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차별성 확보 필승 전략 5가지 (0) | 2025.03.10 |
---|---|
좋은 전략과 나쁜 전략을 구별하는 방법 (1) | 2025.03.09 |
우리 회사, 제대로 가고 있는 걸까? 브라이슨의 10단계 전략변화 모형으로 진단하기! (0) | 2025.02.23 |
전략은 목표가 아니다! 실천 가능한 전략을 세우는 법 (0) | 2025.01.27 |
좋은 전략 vs. 나쁜 전략: 기업의 성패를 가르는 결정적 차이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