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은 상상력으로 시작해서 검증으로 기획된다

Built by 상상력기획자

경영학

전략은 목표가 아니다! 실천 가능한 전략을 세우는 법

상상력기획자 2025. 1. 27. 23:40

1. 좋은 전략과 나쁜 전략

1.1 좋은 전략의 특징

  • 명확한 목표 설정: 목표는 실현 가능하며 구체적이어야 한다.
  • 핵심 문제 진단: 현재 직면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는다.
  • 자원 집중: 핵심 목표에 리소스를 집중하여 효율을 극대화한다.
  • 일관된 행동 계획: 구체적인 실행 단계를 수립하여 실천한다.

 

1.2 나쁜 전략의 특징

  • 추상적인 목표만 강조: "업계 최고의 기업이 될 것"과 같은 선언적 목표만 존재.
  • 리소스 분산: 여러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며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 못함.
  • 문제의 본질을 무시: 현실적인 문제 해결 없이 희망적인 비전만 강조.
  • 실행 가능성이 부족: 명확한 행동 계획 없이 목표만 강조하는 전략.

2. 역사적 사례에서 배우는 전략적 사고

2.1 트라팔가 해전: 전략적 사고의 모범 사례

  • 배경: 1805년 영국 해군의 넬슨 제독이 수적으로 열세였으나 프랑스-스페인 연합 함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둠.
  • 핵심 전략: 전통적인 전열 전투 방식을 버리고, 두 개의 전열을 구성하여 적의 전열을 분열시킴.
  • 결과: 영국은 단 한 척도 잃지 않고 프랑스-스페인 함대의 22척을 격파.

 

2.2 리먼브라더스의 파산: 나쁜 전략의 대표 사례

  • 배경: 2002~2006년 동안 부동산 시장에 무리한 투자를 지속하다 2008년 금융위기에서 파산.
  • 나쁜 전략의 원인:
    • 부동산 시장의 하락 신호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확장 지속.
    • 위험 관리 계획 없이 시장점유율 확대만을 목표로 삼음.
  • 결과: 글로벌 금융 시장에 엄청난 충격을 주며 역사적인 파산 사례로 남음.

3. 전략을 효과적으로 세우는 방법

3.1 전략 수립의 핵심 요소 (Kernel)

  1. 진단 (Diagnosis) → 현재 상황과 핵심 문제를 분석.
  2. 추진 방침 (Guiding Policy) →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과 접근 방식 설정.
  3. 일관된 행동 (Coherent Actions) →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

 

3.2 좋은 전략을 만드는 과정

  • Step 1: 문제 정의 → 조직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를 파악.
  • Step 2: 실행 가능한 목표 설정 → 단계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
  • Step 3: 해결 방안 도출 →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인 방법을 고민.
  • Step 4: 자원 분배 최적화 → 핵심 목표에 리소스를 집중.
  • Step 5: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 → 전략을 실행 후에도 지속적으로 개선.

4. 전략 실행에서 중요한 원칙

4.1 실행 가능한 전략이 필요한 이유

  • 전략이 아무리 훌륭해도 실행되지 않으면 무의미하다.
  • 목표 설정이 아니라, 실제 행동을 정의하는 것이 전략의 핵심이다.
  • 조직 구성원들이 전략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4.2 전략 실행을 방해하는 요소

  • 추상적인 목표만 강조하고 실행 계획이 부족할 때
  • 리더십의 부재로 인해 조직이 전략을 따르지 못할 때
  •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전략을 고집할 때
  • 리소스가 분산되어 핵심 목표에 집중하지 못할 때

5. 좋은 전략을 위한 핵심 요약

  • 전략은 목표가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 실행 가능해야 의미가 있다.
  •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이 필요하다.
  • 모든 전략을 의심하고, 지속적으로 조정하며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
728x90